Surprise Me!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루나·테라 사태 일파만파…가상 자산 시장 영향은?

2022-05-16 2 Dailymotion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루나·테라 사태 일파만파…가상 자산 시장 영향은?<br /><br /><br />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테라USD가 폭락하며 전 세계 주요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거래 중단과 상장폐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개인 투자자들과 더불어 가상화폐 업계의 큰손들도 막대한 손실을 봤을 것이라는 진단도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번 사태가 향후 가상자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련 내용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가상화폐 시장의 '리먼 사태'로 불리는 루나와 테라USD 폭락 여파가 연일 계속되고 있습니다. 두 코인의 시가 총액이 58조원 가까이 증발했고, 가상화폐 업계 큰손들도 막대한 손실을 봤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는데요. 최근 가상자산 시장 상황은 어떻게 진단하십니까?<br /><br /> 투자자들의 손실이 만만치 않은 만큼, 과거 테라USD가 가격을 방어하기 위해서 매수했던 약 4조 5천억원어치의 비트코인의 행방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. 일부 투자자들은 재단이 남은 비트코인으로 피해 보상을 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지만 행방이 묘연하다던데 테라 측 입장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이번 사건으로 가상화폐와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부정적인 기류가 커지고 있습니다. 국내외에서 예의주시하는 수준을 넘어 가상자산 규제 논의에도 속도가 붙고 있는데요. 제2의 루나·테라를 막기 위해 어떤 대책이 필요할까요?<br /><br /> 20·30 청년세대 내 자산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습니다. 자산 상위 20% 가구와 하위 20%가구의 자산 격차가 35배로 지난해보다 더 확대됐다고 하는데, 구체적으로 격차가 얼마나 더 커졌나요?<br /><br /> 소득 격차만으로 35배에 달하는 청년 세대의 자산 격차를 설명하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부모 등으로부터 받은 자산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발생한다는 건데 이런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선 어떤 사회적 고민이 필요할까요?<br /><br /> 세계 2위 밀 수출 국가인 인도가 식량 안보를 확보하고, 이웃 국가와 다른 취약국의 수요를 고려해 밀 수출을 금지한다고 발표했습니다. 그렇지 않아도 위기 상황인 세계 식량 공급 사정이 더 악화되는건 아닐까요? 밀가루 가격 추이는 어떤 상황인가요?<br /><br /> 우리나라가 한 해 수입하는 밀의 규모는 약 334만 톤으로, 인도로부터 들여오는 양은 많지 않은 상황이지만 당장 밀을 주원료로 하는 제분업계의 가격 인상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. 라면과 빵 등 이를 원료로 하는 식품 가격까지 줄줄이 오를 거란 전망이 나오는데, 국내 영향은 어떨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